해시 다양한 길이를 가진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를 가진 데이터로 매핑한 값 *매핑 : 하나의 값을 다른 값으로 대응시키는 것 탐색 하나 이상의 필드로 구성된 레코드의 집합에서 원하는 레코드를 찾는 것 *탐색을 위하여 사용되는 자료 구조 : 배열, 연결 리스트, 트리, 그래프 또한 레코드들의 집합을 테이블(Table)이라고 부른다. 테이블에서 레코드들을 어떻게 구분할까? 레코드마다 서로 구별되는 키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을 탐색키라고 부른다. 의미 있는 단위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 하나의 필드를 가진 레코드만으로는 부족하다. 따라서 맵이라는 개념을 끌어온다. 맵 탐색키 그리고 탐색키와 관련된 값의 쌍을 말한다. 즉, 두 가지 필드를 가진 키를 가진 레코드 또는 엔트리로 이루어진다. 이 두 가지 값은 key, v..